본문 바로가기
에드센스

구글 서치 콘솔 색인 생성 방법 최신

by BENEFIT NEWS 2023. 11. 19.

 

서치콘솔 색인생성 방법

 

구글에 색인을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색인등록이란

색인은 작성한 웹 페이지가 검색 엔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는 것을 의미하며 색인이 등록되지 않은 글은 구글 내 검색결과에 노출되지 않게 됩니다.

 

Google 검색은 세 단계로 작동하며, 각 단계가 모든 페이지에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1. 크롤링: Google은 크롤러라는 자동화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인터넷에서 찾은 페이지로부터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을 다운로드합니다.
  2. 색인 생성: Google은 페이지의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파일을 분석하고 대규모 데이터베이스인 Google 색인에 이 정보를 저장합니다.
  3. 검색결과 게재: 사용자가 Google에서 검색하면 Google에서는 사용자의 검색어와 관련된 정보를 반환합니다.

구글에서는 포스팅 발행 시 3단계로 소개를 나누어 놓았으며 '색인 생성' 단계는 아래와 같습니다.

 

색인생성

페이지가 크롤링되면 Google은 페이지의 내용을 파악하려고 합니다. 이 단계를 색인 생성이라고 하며 <title> 요소 및 Alt 속성, 이미지, 동영상 등 텍스트 콘텐츠 및 핵심 콘텐츠 태그와 속성을 처리하고 분석하는 작업이 포함됩니다.

색인 생성 프로세스 중에 Google에서는 페이지가 인터넷에 있는 다른 페이지와 중복되는지 아니면 표준 페이지인지 판단합니다. 표준 페이지는 검색결과에 표시될 수 있는 페이지입니다. 표준 페이지를 정하기 위해 Google은 먼저 인터넷에서 찾은 비슷한 콘텐츠의 페이지를 그룹으로 묶은 다음(클러스터링이라고도 함)한 다음 이 그룹을 가장 잘 대표하는 페이지를 선택합니다. 그룹의 나머지 페이지는 사용자가 휴대기기에서 검색하거나 이 클러스터의 특정 페이지를 찾는 경우와 같이 다양한 컨텍스트에서 게재 가능한 대체 버전입니다.

또한 Google에서는 표준 페이지와 그 콘텐츠에 관한 신호를 수집하며, 이는 검색결과에 페이지를 게재하는 다음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일부 신호에는 페이지의 언어, 콘텐츠가 속하는 국가, 페이지의 사용성 등이 포함됩니다.

표준 페이지와 해당 클러스터에 관해 수집한 정보는 수천 대의 컴퓨터에서 호스팅되는 대규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는데, 이를 Google 색인이라고 합니다. 색인 생성은 보장되지 않으며 Google에서 처리하는 모든 페이지의 색인이 생성되는 것은 아닙니다.

색인 생성은 페이지 콘텐츠 및 메타데이터에 따라서도 달라집니다. 색인 생성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 페이지 콘텐츠의 품질이 낮음
  • Robots meta 규칙이 색인 생성을 허용하지 않음
  • 웹사이트 디자인으로 인해 색인 생성이 어려울 수 있음

그럼 어떻게 수동으로 색인을 생성 가능한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동으로 색인 생성 요청 방법

구글에 '서치콘솔' 이라고 검색 후 접속 해줍니다. 

 

접속 후 'URL검사'를 눌러주세요

색인을 생성하고자 하는 글의 링크를 복사 후 URL링크 창에 붙여 넣고 엔터키를 눌러주면 서치콘솔에서 자동으로 해당 글의 색인생성 여부를 확인 합니다.

 

색인이 생성되었다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옵니다.

 

색인이 생성되어 있지 않다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옵니다.

 

색인이 생성되어 있지 않은 글은 우측 상단의 '색인 생성 요청'을 눌러 색인 생성을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에드센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저품질 원인 5가지와 해결 방법  (1) 2023.02.13

댓글